Daily e-sports

인디게임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는 '부산 인디 웨이브 컨퍼런스' 개막

'부산 인디 웨이브 컨퍼런스' 현장에 모인 게임 개발자들.
'부산 인디 웨이브 컨퍼런스' 현장에 모인 게임 개발자들.
인디게임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부산 인디 웨이브 컨퍼런스(BUSAN INDIE WAVE CONFERENCE)'가 14일 부산 해운대구 그랜드조선부산에서 막을 올렸다.

지난해까지 '글로벌 인디 컨퍼런스 2025'로 운영되던 이 행사는 올해 새 이름과 함께 인디게임 개발자를 위한 전문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부산 인디 웨이브 컨퍼런스'로 새로 브랜딩됐다.

올해 컨퍼런스에서는 AI 활용, 법률 이슈, 플랫폼 운영 노하우 등 10여 개의 세션이 마련됐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플레이스테이션을 시작하는 방법' ▲화우 게임센터 김종일 센터장, 임철근 변호사의 '법은 무섭지 않다! 개발자를 위한 현실 법률 토크' ▲싱크홀스튜디오 권중규 IP 홀더의 인디게임 개발기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BIC) 이득우 심사분과위원장, 일레븐닷스튜디오 서희수 대표, ALIENZ 김지훈 대표, 팀.WOOTSANG 김지윤 리더가 참여한 'AI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게임 경험과 미래' 토크쇼 등이다.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 주성필 조직위원장이 부산에 모인 게임 개발자들에게 환영의 인사를 건넸다.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 주성필 조직위원장이 부산에 모인 게임 개발자들에게 환영의 인사를 건넸다.


환영사를 진행한 주성필 조직위원장은 부산이 게임의 도시임을 강조했다. 그는 "부산은 메이저 게임쇼인 지스타를 개최하는 도시이며, 인디 게임을 위해 부산 인디게임 페스티벌을 열고 있다"라며 "부산의 게임기업들은 해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게임을 선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디게임 개발자들을 위해 마련한 '부산 인디 웨이브 컨퍼런스'가 인디게임 개발자에게 필요한 지식과 고민거리를 나누는 자리로 자리잡았으면 한다"라며 "산업 생태계는 한쪽만 성장해서는 건강해질 수 없다. 생태계는 항상 다양성이란 뿌리를 내려야 한다. 게임산업에서 다양성의 핵심은 바로 인디게임"이라고 강조했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