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게임과 찰떡궁합'…인기 웹툰 IP 신작 개발 '러시'

(제공=넷마블).
(제공=넷마블).
국내 게임업계가 웹툰을 핵심 IP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원소스 멀티 유스(OSMU) 흐름이 열기를 더하고 있다.

그동안 웹툰 IP 게임은 대형 게임사가 론칭 초반 이용자 확보를 위해 활용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디게임 업계까지 협업이 확대되고, 스핀오프(파생작) 등 다양한 활동으로 이어지는 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표 사례로는 '나 혼자만 레벨업(나혼렙)'이 꼽힌다. 웹소설로 출발한 이 작품은 웹툰으로 제작돼 글로벌 누적 조회 수 140억 회 이상을 기록했다. 2024년에는 넷마블의 액션 RPG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ARISE)'로 재해석돼 글로벌 5000만 이용자를 확보한 흥행작으로 자리 잡았다. 넷마블은 2025년 7월 6일 미국 애니메 엑스포에서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KARMA)'를 공개하는 등 원작–웹툰–게임으로 이어지는 확장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전지적 독자 시점' 역시 웹소설에서 웹툰으로 이어져 대규모 팬덤을 형성한 뒤 게임 제작 단계에 들어섰다. 컴투스가 RPG로 개발 중으로, 원작과 웹툰을 모두 경험한 이용자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노린다. 카카오페이지 연재작 '검술명가 막내아들'은 웹툰 흥행을 바탕으로 카카오게임즈가 MMORPG로 개발 중이다.

(제공=스마일게이트).
(제공=스마일게이트).
넥슨은 카카오웹툰 '템빨'을 원작으로 한 MMORPG '프로젝트T(가칭)'를 준비하고 있으며, 스마일게이트는 콘솔과 PC 기반의 '레벨업 못하는 플레이어'를 2026년 선보일 계획이다. 네이버웹툰 자회사 스튜디오 리코가 직접 제작한 방치형 RPG '신화급 귀속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의 시장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올해는 출시작과 신작 외에도 컬래버레이션 형태의 협업이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스피릿 테일즈'는 '호랑이형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드래곤 엠파이어'는 '역대급 영지 설계사'와 손잡았다. 방치형 게임 '히어로즈 키우기'는 '신의 탑'과 협업했고, 무협 MMORPG '천상비M'은 '북검전기' 캐릭터를 도입해 이용자의 관심을 모았다.

웹툰 IP를 활용한 게임이 늘어나는 배경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도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글로벌 웹툰 게임스(지역형)' 사업을 통해 지역 중소 개발사에 제작비를 지원했고, 경기도와 대전광역시도 웹툰 IP 융복합 사업을 추진했다. 제작비와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웹툰–게임 OSMU 확산에 힘을 보태고 있는 셈이다.

(제공=세시소프트).
(제공=세시소프트).
실제로 웹툰 IP로 액션 게임을 개발 중인 트라이펄 정만손 대표는 "창업 초기 단계에서 개발비가 많이 필요하지 않을 때 여러 가지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지원 사업을 통해 '레벨업 못하는 플레이어' IP도 얻게 됐다"고 설명했다.

웹툰에서 출발한 IP가 게임으로 이어지는 흐름은 이제 단순한 시도를 넘어 산업 전반의 추세로 굳어지고 있다. 게임업계는 웹툰을 통해 안정적인 흥행 기반을 확보하고, 웹툰 산업은 게임화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 앞으로 이러한 상호 보완적 구조가 윈윈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