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 분석 기관인 니코파트너스는 최근 발표한 '2025년 중국 비디오게임 마켓: 500억 달러의 기회'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게임 이용자 105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참가자의 85.2%가 게임 내 생성형 AI 기술이 사용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중국 게임 시장에서는 수년 전부터 빠른 완성 시간과 제작 편의성 등을 목표로 일러스트 그래픽 소스를 비롯해 다양한 개발 과정서 생성형 AI를 활발히 사용해 왔다. 다만 생성형 AI의 적용에 있어 초반 낮은 퀄리티로 인해 이용자들의 불만이 속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것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또한 텐센트는 최근 개최됐던 '게임스컴 2025'에서 새로운 아트 디자인 제작용 AI 도구인 '비스바이스(VISVISE)'를 공개했다.
이 제품은 아트 디자인 작업 중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해 제작 속도를 높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캐릭터에 스킨을 입히는 작업의 처리량이 8배 향상되고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이 키프레임 생성과 지능형 중간 생성을 합친 자동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텐센트 측은 "캐릭터의 골격 애니메이션의 경우 일반적인 작업으로는 3~7일 정도 소모되지만 '비스바이스'를 사용하면 10초 만에 제작할 수 있으며, 캐릭터에 스킨을 입히고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은 최대 3.5일 정도 소모되던 것을 몇 분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러한 흐름은 점차 이용자들에게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모양새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참가자 중 39.4%가 게임 내 생성형 AI 콘텐츠의 적용에 관심을 보이거나 긍정적으로 답변했다고 소개했다.
김형근 기자 (noarose@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