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매니저는 21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오피지지(OPGG) 1층에서 한국게임미디어협회(KGMA, 회장 이택수)가 주최하고 한국게임기자클럽이 주관한 강연회에서 'AI로 완성하는 스토리 시각화(Visualization)' 발표에서 AI를 활용한 개발 체계를 맞춤형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베이글코드는 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핵심 경쟁력으로 삼는 테크 기반의 게임사다. '클럽 베가스' 등 소셜 카지노 장르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며, AI 워크플로우를 전면 도입하는 등 기술 기반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어 "기존 전문가들의 제작 방식을 그대로 옮기는 게 아니라, AI 특성에 맞는 제작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매니저는 자사 '제네바 팀'의 사례를 중심으로 AI가 스토리텔링과 시각화에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그는 "처음에는 비주얼 노벨 제작 자동화로 시작했지만, 결국 핵심은 스토리 자체의 시각화로 이동했다"며 "웹소설 텍스트를 입력하면 장면, 배경, 캐릭터, 관계를 자동으로 추출해 영상화하는 구조를 실험했다"라며 연구 배경을 소개했다.

그는 "AI는 인간의 창작 과정을 단축하는 수단이 아니라 새로운 창작 방식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정의한 뒤 "AI가 창작자의 의도만 명확히 전달받는다면 반복 생산과 빠른 수정이 가능한 체계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런 구조가 정립돼야 AI 시대의 스토리 제작이 진정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매니저는 "AI를 효율화 도구로 볼 게 아니라, 창작 방식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 기술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AI 맞춤형 작업 체계 구축이 앞으로 콘텐츠 제작 전반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AI 시대에는 확실한 강점을 지닌 T자형 인재가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만의 고유한 강점을 강화하면서 나머지 분야는 AI를 활용하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