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지스타25] 엔씨소프트 서브컬처 시장 진입, 지스타 전시로 '스타트'

왼쪽부터 '타임 테이커즈',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제공=엔씨소프트).
왼쪽부터 '타임 테이커즈',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제공=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가 퍼블리싱을 통해 서브컬처 장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한다. 이를 위해 준비한 신작은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와 '타임 테이커즈'다.

엔씨소프트 임원기 퍼블리싱 사업 총괄은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지스타 2025' B2C 부스에서 진행한 오프닝 세션을 통해 두 신작의 제작 방향과 퍼블리싱 전략을 소개했다.

임원기 총괄은 먼저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에 대해 전통 판타지를 현대 감성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라고 소개하며 도시·현대물 중심으로 굳어진 서브컬처 시장에서 클래식 판타지에 대한 이용자의 수요를 다시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는 전설의 장소로 향하는 브레이커들의 모험을 애니메이션풍 렌더링으로 그려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서브컬처적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카도카와 등 일본 콘텐츠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미디어믹스 확장을 준비 중이라고 소개했다.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는 속도감 있는 헌팅 액션을 기반으로, 회피·패링·원소 활용·V 파괴 등 다층적인 전투 경험을 제공한다. 2026년 상반기 글로벌 테스트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PC·모바일·패드까지 아우르는 크로스 플레이 환경을 준비 중이다.

엔씨소프트 임원기 퍼블리싱 사업총괄이 퍼블리싱과 서브컬처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엔씨소프트 임원기 퍼블리싱 사업총괄이 퍼블리싱과 서브컬처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두 번째로 소개된 '타임 테이커즈'는 시간을 자원으로 사용하는 독창적 콘셉트를 앞세운 타임 서바이벌 슈터다. 임 총괄은 "한 발의 총알보다 더 강력한 1초라는 문구처럼 시간 자체가 전투의 규칙이 되는 게임"이라며 특징을 요약했다.

게임은 시간이 곧 수명이 되는 구조로 설계돼, 플레이어가 끊임없이 움직이며 타임 에너지를 수급해야 생존할 수 있다. 세계관에서는 과거·현재·미래에서 삶을 마감한 '여행자'들이 시간 분열체 보이드의 파라다이스 모텔에서 부활해 각자의 과거를 바꾸기 위한 '타임 레이스'에 뛰어든다.

'타임 테이커즈'는 3인칭 시점을 기반으로 속도감과 전략성을 결합한 전투를 구현하며, 개발팀은 매일 수차례 테스트를 반복해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첫 공개는 트리오 모드로 시작하며 이후 솔로 등 다양한 모드를 추가할 계획이다.

엔씨소프트는 이번 두 작품을 시작으로 퍼블리싱 라인업을 확대하며 서브컬처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키워간다는 방침이다. B2C 부스를 통해 이용자 반응을 직접 확인한 만큼, 향후 피드백을 기반으로 국내·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벡스코(부산)=서삼광 기자(seosk@dailygame.co.kr)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