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경기와 시합이라는 말은 둘 다 일본어로 쓰인다. 중국 한자어로는 시합이라는 단어는 없고 경기라는 말만 있다. 경기라는 말은 한자문화권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쓰지 않았다.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해 보니 ‘경기’라는 단어는 순종 7년, 1914년 ‘엽우경기대회(獵友競技大會)에 상금 50원을 내렸다’는 문장에서 딱 1번 나오고 서로 겨룬다는 의미의 시합이라는 단어는 나오지 않았다. 이렇게 보면 경기라는 말도 일본 강점기 시절에 나온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선배가 시합이라는 말을 기피했던 것은 시합이라는 단어 자체가 일본어로만 사용됐던 것을 우리가 그대로 베껴쓰는 것은 바람직하다는 의미였던 것으로 보인다.
경기와 시합을 뜻하는 영어 단어는 ‘매치(Match)’, ‘이벤트(Event)’, ‘컴피티션(Competition)’, ‘게임(Game)’ 등 여러 말로 쓴다. 야구는 영어말로는 ‘베이스볼 게임(Baseball Game)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위키피디아 등 용어 사전에서 야구는 “배트 앤 볼 게임(Bat and Ball Game)’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야구를 게임으로 말한 것은 한가롭게 야외에서 공을 갖고 즐기는 운동이라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게임은 순수하게 즐거움을 위해 행하며 성취나 보상을 받는 신체적 활동이다. 체육학에서 정의하는 게임은 목표와 규칙을 정하며 참가자들 사이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운동이다. 게임은 육체적, 정신적 자극을 수반하며 교육적, 심리적 발달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설명한다. 기원전 2600년전부터 인간들은 게임을 즐겨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볼 때 야구는 다른 어느 종목보다 게임이라는 특성에 잘 부합되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기장을 공원을 뜻하는 파크(Park)라고 부르고, 관중들은 마치 소풍을 가듯 경기장을 찾는다. 선수들은 심판이 ‘플레이 볼(Play Ball)’이라는 경기 시작 선언과 함께 공을 갖고 논다. 야구가 게임으로 불릴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서양의 게임이라는 단어를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그 뜻까지 살려 번역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