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소프트가 4일 발표한 내용은 '그라나도에스파타'가 5년 연속 100억 원대를 기록했다는 것이 골자. 그러나 발표한 것 자체가 '코메디'라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증시 전문가는 "(한빛이) 그동안 게임을 개발한 IMC게임즈 지분 매각을 추진해왔는 데 이제와서 매출 발표라니 주가 부양용 재료라는 것이 너무 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해 한빛은 IMC의 지분을 매각하려 했다. 2011년 NHN을 상대로 지분 40%를 200억 원 규모 지분양수 협상을 벌였다가 가격차로 무산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 한빛, 경영개선 위해 IMC 지분매각...김학규 사단 어디로?)
주주들의 주장처럼 2008년 티쓰리가 한빛을 인수할 당시 주가는 8260원이었지만 4일 현재 주가는 5분의 1 수준인 1755원이다 . 이것도 최근 합병 관련 소문이 돌면서 주가가 오른 것을 반영한 수치다. 즉 '합병검토' 단계라면 티쓰리가 한빛소프트를 인수하면서 그렸던 청사진(티쓰리 제품공급-한빛 퍼블리싱)이 실패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주주들에게 인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그동안 등을 돌렸던 IMC게임즈를 '재료'로 삼았다는 점 때문에 게임업계 관계자들의 비아냥을 사고 있다. '그라나도에스파다'는 한빛이 IMC 지분을 매각을 추진했던 2010년에 이미 100억 원을 넘었다. 애당초 관계를 단절하려 했던 IMC를 이제와서 거론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
IMC에 근무한 적 있는 한 업체 관계자는 “티쓰리가 한빛을 인수한 뒤 IMC 내부 분위기는 많이 다운됐다”며, “제대로 된 대우를 요구했음에도 묵살 당했고, 지분매각 소식이 항상 들려와서 씁쓸했다. 그런데 지금와서 ‘그라나도에스파다’가 잘 나간다는 식의 자료를 보니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한빛소프트와 IMC게임즈는 김영만 전 한빛 대표 시절만하더라도 끈끈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김영만 전 한빛 대표 및 박춘구 전 사장은 김정률 전 그라비티 회장과 얽힌 김학규 대표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많은 도움을 줬다. 김학규 대표는 이에 대한 고마움의 표시로 ‘그라나도에스파다’ 판권을 한빛에 영구히 넘겼다.
이 관계는 2008년 한빛이 티쓰리에 매각되면서 틀어지기 시작했다. 김기영 대표 입장에서는 티쓰리에서 만든 게임이 많은데 굳이 많은 돈을 주고 IMC의 차기작을 가져올 필요가 없었고, 김학규 대표는 전과 달리 IMC의 가치를 무시하는 김 대표와 함께 하기를 싫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IMC는 무협게임 ‘프로젝트R1’을 NHN과 퍼블리싱 계약을 맺었고, 이 과정에서 한빛은 IMC 지분매각을 추진해 왔다.
한 업계 전문가는 "파트너 관계, 모회사와 자회사라는 관계가 합병이후 무색해진 것이 사실"이라며 "물론 한빛 ‘그라나도에스파다’ 판권을 영구히 갖고 있어, 지분매각은 다른 일이라 주장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nonny@dailygame.co.kr]
◆관련 기사
한빛소프트 어쩌다 이 지경까지…명가에서 '듣보잡'으로
티쓰리, 자회사 한빛소프트 돈빼가기 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