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콜] NHN, 한게임 분사이유 ‘게임사업 몰이해•규제 때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302071029440073169dgame_1.jpg&nmt=26)
김상현 NHN 대표가 실적발표를 통해, 한게임을 분사시킨 이유에 대해 다시금 설명했다. 네이버와 한게임이 같이 해서는 더 이상 시너지를 낼 수 없다는 판단이 주요했다. 김범수, 남궁훈 등 한게임을 창업한 멤버들이 퇴사하면서 게임을 이해하는 임원이 없어, 적극적으로 게임사업을 진행할 수 없다는 것도 분사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김 대표는 “한게임과 네이버는 회사 초기부터 성장기까지 시너지를 내왔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관계라고 말하기 어렵다”며, “특히 네이버가 검색포털로서 업계 1위가 되고 사회적 책임을 부담하게 된 이후에는 적극적으로 게임사업을 펼치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게임사업에 대한 이해가 없는 임원들로 인해 M&A가 무산된 사례를 들었다. 지난해 이사회에서 게임회사 인수가 논의됐지만, 이사들의 반대로 부결됐다는 것. 김 대표는 “한게임을 창업했던 임원들이 퇴사한 지금은 게임사업 보다는 전체 이익을 생각하다 보니 기계적인 결론이 나고, 게임사업의 고유성이 무시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규제 이슈도 분할에 영향을 미쳤다. 김 대표는 “최근 제기되는 게임 규제 이슈로 웹보드게임과 캐주얼게임이 새로운 기회를 맞았다”며,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책임감과 규제리스크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적분할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NHN재팬에 대한 청사진을 내놓았다. 일본에서는 게임부분을 신설법인으로 분할하고 나머지 부분을 ‘라인’ 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것이다.
황인준 NHN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 분할은 플랫폼(네이버, 라인)와 콘텐츠 크리에이터(게임)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며, “존속법인은 네이버와 라인을 바탕으로 많은 콘텐츠를 소화할 것이고 게임부분은 콘텐츠 제작에 집중해 라인 뿐 아니라 카카오톡이나 다른 글로벌한 플랫폼에도 게임을 제공해 각자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nonny@dailygame.co.kr]
◆관련 기사
[컨콜] NHN, ‘라인 코퍼레이션’ 日 상장 고려
[컨콜] 한게임 올해 20여 모바일게임 출시, 매출 소폭 상향 예상
[컨콜] NHN 한게임 600명 수준으로 분사
[컨콜] NHN 메신저 라인, 지난 4분기 매출 483억원
NHN 지난해 매출 2조3893억원…게임 실적은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