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협회 역시 규제완화 및 진흥책수립 등과 같은 기대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협회 한 관계자는 “당초 최관호 협회장이 남경필 의원에게 협회장직 제의를 했을 때 부탁 드린 것이 ‘중심을 잡아달라’는 것이였다”며, “남 의원 역시 게임산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알고 있고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고 말했다.
게임산업협회는 게임산업의 바람직한 발전 및 이익도모를 위해 2004년 출범했다. 초대 협회장은 김범수 NHN 대표가 맡았고 1년동안 활동했다. 이후 김영만 한빛소프트 대표, 권준모 넥슨 대표, 김정호 NHN 한게임 대표, 김기영 한빛소프트 대표 등 회장사 대표가 협회장직을 맡았다.
남경필 신임 협회장 추대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이뤄졌다. 정치적 영향력이 큰 여당 중진의원이 협회장을 맡으면 회원사들이 협회를 중심으로 뭉칠 수 있다고 판단을 내린 것이다.
부회장사 한 관계자는 “협회 정관을 개정하면서 외부인사도 협회장을 맡을 수 있게 됐다”며, “전병헌 의원이 e스포츠협회장을 맡으면서 대내외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모습을 봤고, 같은 맥락에서 게임산업협회도 영향력이 큰 남경필 의원을 협회장으로 추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 역시 “아무래도 국회의원이 협회장을 맡으면 지금하고는 다른 방식으로 협회가 운영될 수 있지 않겠느냐”며, “신임 협회장을 중심으로 부회장사와 이사사들이 모인다면 공동 이슈에 대해 더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고 말했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dailygame.co.kr]
◆관련 기사
[남경필 신임협회장] 국회의원 이익단체수장 겸직 문제없다
[남경필 신임협회장] 5선 중진 의원, 정치적 영향력 기대
[남경필 신임협회장] 최관호 “전병헌 e스포츠협회장 취임식서 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