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블루제이스 선발 로비 레이가 19일(한국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시티즌스뱅크파크에서 열린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 선발 등판한 뒤, 5회 마운드를 내려가고 있다. [필라델피아 USA투데이스포츠=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924055026081825e8e9410872233823120.jpg&nmt=26)
더블헤더는 두 팀이 같은 경기장에서 하루에 두 번 연거푸 치르는 경기를 말한다. MLB에서 간간히 한 팀이 하루에 2경기를 다른 관중 앞에서 연속해서 경기를 갖는 것을 데블헤더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는 전통적 의미와는 좀 다르다. MLB에선 수십년동안 현충일(5월 마지막 주 월요일), 독립기념일인 7월4일, 노동절(9월 첫째 월요일) 등 특별한 날에 연례행사처럼 더블헤더를 가졌다. 초창기 MLB는 필라델피아 필립스 등 여러 팀들이 주일인 일요일에 경기를 갖지 않고 토요일에 더블헤더 일정을 잡기도 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구단주들이 경기 일수를 늘려서 수익을 올릴 목적으로 더블헤더를 원하지 않으면서 많이 줄어들었다. 현재는 비 등으로 인해 특별한 경우에만 더블헤더가 열린다.
야간 조명시설이 없던 시절, 메이저리그는 낮에 더블헤더를 많이 가졌다. 1959년에는 한 시즌 4분의 1경기를 더블헤더를 치렀던 적이 있었다. 해 넘어가기 전에 두 경기를 가졌다. 1980년대 이후 더블헤더는 원칙적으로 비나 눈, 또는 혹서등으로 연기된 경기에 한해 갖는게 일반적이다.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메이저리그에서 한 시즌 최다 더블헤더 기록은 1943년 시카고 화이트삭스가 기록한 44개다. 보스턴 브레이브스는 1928년 9월 4일부터 9월 15일 사이에 9경기 연속 더블헤더 경기를 치렀다.
한국프로야구는 1990년대까지는 당일 경기가 우천 등으로 취소되면 다음 날 더블헤더로 경기를 가졌다. 현재 한국프로야구는 고척 돔 구장을 빼고는 모두 야외 구장에서 경기를 갖는 관계로 인해 경기 전 비가 오면 취소시키고 별도의 일정을 잡거나 더블헤더로 경기를 갖는다. 코로나 19가 기승을 부리며 개막전이 5월5일로 1달여 늦춰지고 , 여름 장마가 길었던 올해의 경우는 더블헤더 경기가 예년에 비해 좀 많은 편이었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뉴스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48] ‘Retired Numbers’를 왜 ‘영구결번(永久缺番)’이라고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47] 야구 ‘유니폼(Uniform)’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46] 야구에서 ‘Extra Inning Game’을 왜 '연장전’이라고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45] 야구는 왜 ‘9이닝(Nine Innings)’ 경기라고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44] ‘사인 훔치기(Sign Stealing)’는 왜 '필요악'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