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드사하라스튜디오의 이지훈 대표가 3일 서울 청담동 엠큐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 말이다.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면 이용자들이 알아줄 것이라고 믿으며 게임을 개발해왔다는 그는 이 날 신작 '불멸의전사2: 위너스'(이하 불멸의전사2)를 소개했다.
'불멸의전사2'는 사하라스튜디오의 처녀작 '불멸의전사'의 후속작으로 RPG의 뼈대인 성장, 액션, 전략에 집중한 RPG 본연의 재미를 추구하는 모바일 RPG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이지훈 대표가 참석해 '불멸의전사2'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은 질의응답 전문이다.
타 게임과 비교시 차별점이 눈에 띄지 않는데.
이지훈=이용자를 고려하는 디테일에서 차이가 나지 않나 생각한다. 부족하고 아쉽다고 생각한 부분을 채우다보니 여러 시스템이 추가됐고, 전략적인 시스템도 이렇게 추가됐다. 이용자들이 원하는대로 키워나갈 수 있는 것도 차별성으로 생각된다.
캐릭터를 키우다 진화 시 캐릭터가 맘에 들면 쭉 키우고 아니다 싶으면 랜덤 영웅으로 변경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밸런스가 잘 맞아들어가는 게임이라는 생각도 있다. 스토리, 영상, 아이템, 영웅 등의 콘텐츠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고 본다. 뛰어나다는게 아니라 우리만큼 밸런싱 있게 만들어진 게임이 드물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전작과 동시 서비스가 되는데 잠식 효과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지훈=전작은 전작대로 서비스하고 신작도 신작대로 서비스할 것이다. 이용자들은 절대 의도한 대로 가지 않는다는게 모토중 하나다. 이용자들의 움직임에 따라 응대할 것이다. '불멸의전사1'은 시즌4 업데이트를 준비 중이다. 조만간 라이브가 될 예정으로, 각 작품별 별개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지훈=중소 개발사로 자본의 논리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체 서비스를 선택한다는게 쉬운 결정은 아니다. 퍼블리셔와의 협력으로 손쉬운 홍보등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 저희가 만든 게임이므로 우리가 가장 잘 알겠지하는 마음이 앞섰다. 전작도 그런 마음으로 서비스해왔고 이용자분들이 알아주셨다. 또 자사의 강점 중 하나가 소통을 잘 한다는 점이다. 이런 것들을 합쳐 해나가면 되지 않겠냐고 생각해 자체서비스를 결정했다.
퍼블리셔를 통하지 않고 서비스하면 개발자들이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돼 빠르게 응대 가능하다. 이용자들의 목소리도 최대한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퍼블리셔와 서비스를 진행할 경우 상의가 어려운 부분이 많은 경우도 있다. 이런 운영적인 부분이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큰 회사의 운영에 밀린 경험이 있는데도 자체 서비스를 결정한 이유는?
이지훈=결국 저희가 부족해서 그렇다고 생각한다. 다른 회사는 업데이트도 잘하고 운영도 잘하고 있다고 본다. 저희도 열심히 했지만 급이 좀 떨어지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운영은 서비스로 개념을 확대시켜보면 개발을 제외한 모든 것으로 볼 수도 있고 한정적인 부분으로 볼 수도 있다. 큰 범위의 의미로 접근하면 큰 회사보다 이용자 획득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고 본다. 부연하자면 이용자와 소통하고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부분에서는 레드사하라는 어떤 게임보다도 잘 응대했다고 본다.
최근 불거지는 모바일게임 운영 이슈 대응 방안이 있는지.
최근 모바일게임보다 조금 어려워 보인다.
이지훈=많은 걸 주려다 보니 그렇게 생각될 수도 있을 것 같다. 팁들을 적극적으로 잘 제공한다면 스무스하게 어려운 구간을 돌파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게임 내에서 사람들끼리 소통할수 있도록 위키시스템, 길드내 소통들을 유도했다.
'불멸의전사1'과 '불멸의전사2'의 가장 큰 차이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이지훈=모든 관점에서 레드사하라의 사상과 의도를 충실히 반영한 게임이다. RPG의 본질에 한발짝 다가간 게임이라고 생각한다.
전작처럼 광고 계획이 있는지.
이지훈=전작의 근육맨 광고를 찍고 지인들로부터 욕을 많이 먹었다. 우리로써는 좋은 경험이었다. 아직까지는 사전 예약 준비 단계이기 때문에 명확한 계획은 세워지지 않은 형태다.
북미 서비스를 둘러싸고 다툼이 있었다.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면?
이지훈=이 부분은 스탭과 홍보 담당자를 통해 별도로 알려드리도록 하겠다.
카카오와의 협업을 고려하고 있는지?
이지훈=카카오 사전 예약을 진행 중이다. 카카오 게임하기에 대한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관점을 보는 시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카카오 게임하기에서 많은 이용자들이 게임을 접하고 트래픽이 발생하고 있다고 본다. 최근 카카오 플랫폼을 달지 않고 성공한 게임도 많고 반대 경우도 많다. 탈 카카오 논란을 떠나서 전작과 같은 루트를 선택하는 게 전체적인 관점에서 좋지 않겠냐고 판단했다.
심정선 기자 (narim@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