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B2B상담과 B2C 체험 연계, '2025 경기국제웹툰페어' 개막

'2025 경기국제웹툰페어'가 18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막했다. 올해 행사는 오는 2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해 B2C 전시장 전경(제공=경기콘텐츠진흥원).
'2025 경기국제웹툰페어'가 18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막했다. 올해 행사는 오는 2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해 B2C 전시장 전경(제공=경기콘텐츠진흥원).
웹툰 산업의 교류와 대중적 즐거움을 동시에 담은 '2025 경기국제웹툰페어'가 18일 고양 킨텍스에서 개막했다. 올해 7회째를 맞은 이 행사는 국내 최대 규모의 웹툰 전문 전시회로, 산업 종사자와 팬층을 함께 아우르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콘텐츠진흥원, 킨텍스가 주관하는 '경기국제웹툰페어'는 산업적 교류와 대중적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는 B2B 비즈니스 상담회와 일반대중이 참여하는 B2C 프로그램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웹툰 산업 종사자에겐 실질적인 교류의 장을, 일반 관람객에게는 체험과 즐거움의 장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B2B 비즈니스 상담회는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간 진행된다. 올해 행사에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다온크리에이티브, 알에스미디어, 케이더블유북스, 씨엔씨레볼루션 등 국내 웹툰 기업 102개사가 참여했다. 또한, 네이버웹툰, 일본 크런치롤(Crunchyroll), 중국의 빌리빌리코믹스 등 아시아·미주·유럽 등 국내외 바이어 97개사가 상담을 진행한다.
올해 B2B 상담회는 폭 넓은 지역에서 바이어가 참가해 눈길을 끈다. 지난해에는 일본 바이어(26개 사)가 강세였다면, 올해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중국, 미국 등 11개국의 48개사의 해외 바이어가 참여했다. 한국 콘텐츠에 쏠린 높은 관심이 웹툰으로 이어진 모양새다.

B2B상담과 B2C 체험 연계, '2025 경기국제웹툰페어' 개막

B2C 비즈니스 상담회에는 국내외 바이어 97개사가 참여했다.
B2C 비즈니스 상담회에는 국내외 바이어 97개사가 참여했다.

오는 19일부터 개최되는 일반 전시(B2C)는 '참여'를 테마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운영된다. 맥에이전시는 '사랑받는 언니가 사라진 세계'의 밤마녀 작가가 사인회를 진행하며, 거북이북스는 '묘냥이와 멍구'의 단미 작가 사인회와 놀이공원 콘셉트의 포토존을 운영한다. 이 밖에 툰잉, 브레인 벤처스, 트위그팜 등 신기술 업체가 참가해 인공지능(AI) 기반 번역 및 현지화, 자동화 솔루션, AI 보조작가 등 차세대 웹툰 제작 기술을 선보인다.

메인 무대에서는 ▲'웹툰 골든벨' 퀴즈쇼 ▲유튜버 만화선배와 함께하는 WBTI 오타쿠 성향 테스트 ▲김동호 작가의 라이브 드로잉 ▲조광진 작가의 라이브 밴드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돼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또한 '진돌히디만화'의 진돌 작가, '중증외상센터 : 골든아워'의 한산이가 작가, '칼가는 소녀'의 오리 작가 등 인기 웹툰 작가들이 강연자로 나서 창작 과정과 업계 경험을 공유하며 예비 창작자들에게 조언한다.

산업 관계자와 일반 관람객을 아우르는 콘퍼런스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오는 19일 오후 2시부터 'AI가 만든 웹툰, 사람이 만든 이야기'를 주제로 기조연설과 '첨단기술과 웹툰 IP 확장의 미래'를 주제로 토크콘서트가 진행된다. 웹툰 산업을 둘러싼 새로운 흐름과 웹툰 IP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제공=경기콘텐츠진흥원).
(제공=경기콘텐츠진흥원).

상설 부대 공간으로는 '웹툰 그라운드', '웹툰 스트리트', '콜라보 카페' 등을 마련해 참관객들이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전시장 전역에서는 스탬프 투어와 누리소통망(SNS) 인증 이벤트 등 현장 참여 이벤트가 다채롭게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클립 스튜디오 페인트 라이선스'를 비롯해 다양한 협찬사 경품과 기념품을 받을 기회도 제공된다.

특히 올해는 최근 트렌드에 맞춘 체험형 전시를 적극 반영해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고 몰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수 선보이고 있다. 콜라보 카페에서는 인기 IP인 '열혈강호', '악역의 엔딩은 죽음뿐', '이번 생은 우주대스타'와 연계한 특별 음료와 체험 콘텐츠를 제공해 관람객들이 작품 속 캐릭터와 상호 작용하며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