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레이 아웃은 코스 설계와 관련해 코스 모양이나 구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골프 사전을 보면 스코틀랜드에서 발달한 골프장인 링크스(Links) 코스라든가, 보통 북미 내륙에 많은 가든(Garden) 코스 등을 설명할 때 레이 아웃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링크스 코스로 된 레이아웃의 대표적인 골프장은 골프 발상지인 세인트 앤드류스 골프코스이며, 가든 코스의 대표적인 예는 마스터스 대회가 열리는 오거스타 골프장이다.
레이 업은 레이 아웃과는 근본적으로 의미가 다르다. 레이 업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하는 샷을 말한다. 해저드나 벙커 등 위험 지대를 피해 무리를 하지 않고 짧게 끊어 칠 때, 레이업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레이 업은 농구에서 많이 쓴다. 드리블하여 달려오다가 골 밑근처에서 점프한 상태로 백보드나 림에 볼을 올려놓듯이 행하는 기술이다. 골프 용어로 레이 업이 사용된 것은 오래됐다고 한다. 19세기에 나온 골프 사전에 이미 레이 업이라는 단어가 사용됐다고 한다. 페어웨이 한 가운데를 가로 지르는 개울(Creek)을 피하기 위해 샷을 짧게 끊어 치면서 안전하게 그린에 올리는 것을 설명하면서 레이 업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레이 업은 프로골퍼들은 물론 비기너들도 언제든 활용할 수 있는 어렵지 않는 기술이다. 코스 매니지먼트의 일부분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레이 업을 잘 하면 스트로크를 줄이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언제 레이 업을 해야 할 지 잘 판단하는 것은 중요하다.
레이 아웃과 레이 업을 위험 지대에서 빠져 나온다는 의미로 뭉뚱그려 사용하는 것은 분명 잘못된 것이다. 레이 뒤에 접미사로 '아웃'과 '업'이 들어가 엇비슷해 보이지만 근본적인 의미에서 큰 차이가 있다. 아웃과 업이 다르듯 의미도 서로 다르다. 골프 용어의 뜻을 잘 아는 것은 즐겁고 행복한 골프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뉴스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00] 올 PGA챔피언십 코스 ‘하딩 파크(Harding Park)’에 왜 ‘하딩’이라는 말을 쓸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99] ‘기브(Give)’와 ‘김미(Gimmie)’는 어떻게 다를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98] ‘쇼트(Short), 미들(Middle), 롱(Long)홀(Hole)’이 잘못된 일본식 영어인 이유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97] ‘루키(Rookie)’를 왜 ‘신인(新人)’이라고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96] 왜 ‘18홀’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