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구에서 쓰는 ‘메이저리그(Major League)’라는 말은 통상 미국프로야구라는 의미로 쓰는데 엄밀히 말하면 특정 야구단체 이름이다. 메이저리그는 메이저리그베이스볼(Major League Baseball· MLB)를 줄인 말이다. MLB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최고 수준의 프로야구 리그를 말한다. MLB는 ‘내셔널리그(National League)’와 ‘아메리칸리그(American League)’ 양대 리그를 운영하는 조직으로 1901년부터 공통된 조직으로 발전해왔다. 내셔널리그는 1876년부터 먼저 운영됐다가 아메리칸리그가 1900년 발족하면서 그 이후 통합해 리그를 운영하게 된 것이다. 양 리그는 동부, 서부, 중부 3개 지구로 나뉘어 리그전을 가진 뒤 플레이오프(Playoff)를 거쳐 리그 1위팀들이 7전4선승제의 월드시리즈를 가져 최종 우승팀을 정한다.
스포츠에서 리그는 협회, 연맹, 지구, 리더보드, 시리즈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골프와 같은 아마추어 개인 종목에서 리그라는 말이 사용하기도 한다. 리그라는 용어는 축구 UEFA 챔피언스 리그와 같이 전통적으로 토너먼트라고 불리는 대회에 쓴다, UEFA챔피언스리그는 먼저 소규모 리그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가 여러 번 열리고, 최종 우승자를 뽑는 단일 탈락 토너먼트를 갖는다.
메이저리그는 독특한 방식의 리그전을 갖는다. 주요한 리그라는 의미의 ‘메이저리그’라는 말은 맨 먼저 프로야구를 만든 내셔널리그를 지칭하는 의미로 쓰였다가 아메리칸리그와 경기를 함께 운영하면서 미국프로야구라는 일반적인 보통 명사가 됐다고 할 수 있다. 내셔널리그와 아메리칸리그는 오랫동안 분리된 법인 단체로 운영됐다가 2000년 메이저리그라는 하나의 통합된 기관으로 결합했다. 메이저리그는 2개의 리그 방식 때문에 정통성을 의미하는 정관사 ‘The’를 쓰지 않는다. 골프에서 최초의 메이저 대회인 브리티시오픈을 ‘디 오픈(The Open)’이라며 원조를 주장하는 것처럼 하지 못하는 이유이다. 개인상도 별도로 운영한다. 최고 투수상인 ‘사이영(Cy Young)’ 상도 내셔널리그와 아메리칸리그가 개별적으로 시상하고 있다.
1982년 출범한 한국프로야구는 한국야구위원회(Korea Baseball Organization· KBO)가 주관해 10팀이 단일 정규리그를 갖는다. 리그 성적을 토대로 플레이오프 진출팀을 가리고 최종 한국시리즈로 우승팀을 선정한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뉴스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1] ‘스토브리그(Stove League)’가 아니라 ‘핫 스토브리그(Hot Stove League)’이다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50] 야구에서 ‘경기(競技)’와 ‘시합(試合)’은 어떻게 만들어진 말일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49] 왜 ‘더블헤더(Doubleheader)’라고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48] ‘Retired Numbers’를 왜 ‘영구결번(永久缺番)’이라고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47] 야구 ‘유니폼(Uniform)’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