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자욱한 코스에서는 잠정구를 칠 일이 많아질 수 있다. 사진은 14일 제주 엘리시안 컨트리클럽에서 열린 KLPGA투어 S-OIL 챔피언십 3라운드 모습. [KLPGA 제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614090615099155e8e9410871751248331.jpg&nmt=26)
골프 규칙에 따르면 '잠정구(Provisional ball)'는 타구가 워터해저드(water hazard) 이외에서 분실 또는 아웃오브바운즈(out of bounds)될 염려가 있는 경우, 그 결과를 확인하기 전에 잠정적으로 치는 공을 말한다. 원래 볼이 숲속으로 날아가면 때렸던 곳으로 돌아가서 다른 공을 새로 쳐야한다. 하지만 다시 돌아가서 치면 시간이 지연될 뿐 아니라 친 골퍼 기분도 영 안좋을 것이다. 그래서 숲으로 간 공을 찾기 위해 티 구역을 떠나기 전, 동반자에게 '잠정구'를 선언하고 볼을 다시 친다. 만약 먼저 친 공을 찾지 못할 경우, 잠정구가 플레이볼이 된다. 하지만 원래 볼을 찾는다면, 벌칙 없이 잠정구를 집어들면 된다. 골프가 신사 스포츠라는 일면을 잠정구 용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잠정구는 중국, 일본, 한국에서 모두 사용하는 한자어이다. 아마도 1800년대 후반 골프가 미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왔던 것으로 추정해 볼 때 일본에서 만들어 진 일본식 한자어일 가능성이 높다. 그럼 잠정이란 한자는 어떤 의미일까. '잠깐 잠(暫)'은 '벨 참(斬)과 '날 일(日)'이 합성된 한자어이다. 날을 베어서 작게 만든 시간이 잠깐이라는 의미이다. 벨 참에서 의미하듯이 도끼로 머리를 자르거나 사지를 절단하는 형벌인 '참수(斬首, 머리를 베는 것)'를 하던 옛날 왕조시대에 잠시 형벌을 멈추고 시간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당히 공포감을 느끼게 하는 단어였다.
아마도 일본 메이지 유신, 사무라이 문화가 지배하던 무렵에 후쿠자와 유키치 등 사무라이 출신 문사들이 영어를 번역하면서 골프 클럽이 '칼'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착안해, 'Provisional ball'의 'Provisional'을 '잠정'으로 해석한 것인 듯하다.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해보면 '잠정'이라는 단어는 딱 1번 나온다. 청·일전쟁의 승리로 일본의 개입이 점차 심해지던 1894년, 고종 31년 7월20일 갑오 5번째 기사로 ''조일 잠정 합동 조관(朝日暫定合同條款)'이 작성되었다'는 대목이다. 잠정이라는 단어가 일본에서 수입된 것임을 엿보게 하는 부분이다.
문자는 해당 국가나 집단의 정신문화를 반영하는 사회적 약속이다. 특정 용어는 오래동안 사람들이 사용하면 그대로 굳어진다. 만약 인위적으로 바꾸려고 하면 상당한 소통의 단절이 올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 어원과 유래 등을 제대로 알려고 하는 노력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굳어졌다고 그냥 방치만 하고 볼 수는 없는 일이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