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전력 사용량 급증으로 전국적으로 순환 정전 사태가 발생하면서 PC방 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지역별로 정전이 30분 이상 지속되면서 손님들이 매장을 빠져나갔지만, 정전 때문에 요금정산을 할 수 없는 업주들은 기본요금만 받거나 항의하는 손님을 그냥 보내줄 수 밖에 없었다.
PC방 업계에서는 이번 정전으로 매장당 최소 3만원에서 5만원 정도의 손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인터넷PC문화협회(회장 김찬근, 이하 인문협) 조영철 정책국장은 “사전 예고 없이 정전이 오래 지속되면서 물질적인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었다”며, “그나마 다행인 것은 손님들이 비교적 적은 오후 시간에 정전이 발생했다는 점을 위안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PC방 업주들은 정전으로 인한 책임을 한전이 아닌 자신들이 떠맡아야 하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말한다. 정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손님들의 항의를 받아주는 것은 물론,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비용도 받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PC방 업주 박모씨는 “순간적인 정전이면 기다렸다가 손님의 PC 사용내역을 바로 확인해 비용을 청구할 수 있지만, 이번처럼 30분 이상 정전이 지속되면 비용 받는 것 자체를 포기해야 한다”며, “피해를 입었지만 한전으로부터 보상 받는 금액도 미비해 속만 태울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게임업계처럼 자체 보조전력을 가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춘 PC방은 전무하기 때문에 정전이 발생하면 피해를 고스란히 입어야만 하는 상황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익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정전 대비용 장비를 비치하는 것 자체가 부담이다.
때문에 PC방 업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정전문제 해결을 숙원사업으로 정해뒀지만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는 못하고 있다.
인문협 조 국장은 “서울지역을 제외하고 전기 수급상황이 안 좋은 지방은 여름이면 정전이 종종 일어난다”며, “한전측에 말해 변압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그 외에 대책을 마련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nonny@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