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는 21일(현지 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AI가 웹 사용 방식을 다시 정의할 시점"이라며 '아틀라스'를 소개했다.
아틀라스는 단순한 검색 보조 도구를 넘어 사용자의 웹 탐색 전반을 지원하는 '슈퍼 어시스턴트형 브라우저'를 표방한다. 오픈AI는 이 브라우저를 '작업과 도구, 문맥이 모두 모이는 공간에 챗GPT를 결합한 브라우저'로 정의했다.
브라우저에는 챗GPT의 메모리(memory) 기능도 내장됐다. 사용자가 방문한 사이트나 이전 대화를 기억해 문맥을 이해하고, 필요할 때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관련 기록은 사용자가 완전히 선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 기록을 삭제하면 연결된 메모리도 함께 제거된다. 오픈AI는 이를 "프라이버시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돌려준다"고 강조했다.
또한 일정 관리, 정보 수집, 업무 자동화 등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모드(Agent Mode)'도 도입됐다. 이 기능은 유료 구독제인 챗GPT 플러스, 프로, 비지니스 이용자에게 프리뷰 형태로 우선 제공된다.
아틀라스는 애플 맥OS용으로 전 세계 동시 출시됐고, 윈도우·iOS·안드로이드 버전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오픈AI는 "아틀라스는 당신이 웹을 탐색하는 모든 순간에 함께하며, 더 똑똑하고 유용해진 챗GPT를 경험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틀라스의 설계가 새로운 저작권 논란을 불러올 가능성도 높아졌다.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AI가 직접 읽고 요약하는 구조가 기존 기사나 콘텐츠의 '무단 복제 또는 전송'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오픈AI가 이미 글로벌 콘텐츠 기업들과 저작권 소송을 진행 중인 만큼, 관련 논란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