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 "AI는 게임기업에게 큰 기회"

'언리얼 페스트 서울 2025'에 참석한 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
'언리얼 페스트 서울 2025'에 참석한 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
에픽게임즈 팀 스위니 대표가 인공지능(AI)을 게임 산업의 미래를 여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스위니 대표는 25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언리얼 페스트 서울 2025' 미디어 간담회에서 "AI는 기회다. 과거에는 하나의 게임을 엔드 콘텐츠까지 완성하는 데 최소 3년이 걸렸지만, 이제는 노하우가 쌓이면 더 빨리 만들 수 있다. AI 활용으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속도가 빨라지고, 반복과 학습 과정 역시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 캐릭터와 대화가 사람과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발전할 수 있다. 게임을 보다 몰입형으로, 참여형으로 만드는 데 AI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해 언리얼 엔진에 AI 어시스트와 같은 기능을 지속적으로 도입하겠다 계획을 공유했다. 그는 "게임 아트, 콘텐츠 생성,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이미 활용되고 있으며, 언리얼 엔진 5에도 이런 기능이 들어가 있다. 앞으로 더 많은 개발사가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더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팀 스위니 대표는 AI가 게임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작은 기업들이 특히 큰 혜택을 볼 것이다. 기술 지원을 빠르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면서도 "대규모 프로젝트 역시 생산성 향상을 통해 더 재미있는 게임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 완성도 높은 재미와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인력은 지금보다 많아 질 수도 있다라고도 했다.

구글과 애플의 폐쇄적인 앱스토어 정책에는 비판적 태도를 유지했다. 팀 스위니 대표는 기조 연설에서도 구글과 애플 등 빅테크 기업의 수수료 정책과 앱마켓 접근성에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

팀 스위니 대표는 빅테크 기업의 폐쇄적인 앱마켓 정책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팀 스위니 대표는 빅테크 기업의 폐쇄적인 앱마켓 정책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그는 "한국에서도 앱스토어 독점 규제법이 통과됐지만, 애플과 구글은 법을 따르는 척하며 외부 결제업체에 26% 수수료를 부과하는 끔찍한 조치를 취했다.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법은 글이 아니라 의도를 지켜야 한다. 지불 결제와 스토어 모두 자율 경쟁이 가능해야 하고, 그래야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공정 경쟁 기회가 돌아간다"고 강조했다.

에픽게임즈는 2020년 애플과 구글의 결제 강제 정책과 30% 수수료에 반발해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 과정에서 2024년 구글과의 소송에서 승소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외부 앱스토어 개방을 요구하는 판결을 이끌어냈다.
팀 스위니 대표는 이런 활동을 "개발자에게 더 많은 공정 경쟁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팀 스위니 대표는 미래에는 게임과 게임이 마치 한 몸처럼 게임 아이템과 이모티콘을 공유하는 생태계가 완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팀 스위니 대표는 미래에는 게임과 게임이 마치 한 몸처럼 게임 아이템과 이모티콘을 공유하는 생태계가 완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픽게임즈는 자체적으로 개발자 친화적인 수수료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에픽스토어의 경우 매출 100만 달러 이하의 게임에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초과분에만 12%를 적용한다. 언리얼 엔진 5 역시 게임 개발사의 총매출이 100만 달러를 넘지 않으면 라이선스비가 없으며, 초과 시점부터 5% 로열티가 부과된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게임업체와의 상표권 논란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스위니 대표는 "소송을 제기한 적도, 계획도 전혀 없다. 단순히 상표 혼동 가능성에 대해 절차상 의견을 제시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끝으로 그는 게임의 미래를 '연결성'으로 정의했다. "버추얼 아이템 경제가 통합된다면 이용자가 더 확신을 가지고 구매할 수 있을 것이다. 상호 호환되는 아이템은 매우 중요하다. 캐릭터, 차량, 의상, 이모티콘까지 다른 게임에서 쓸 수 있어야 한다"면서 "이런 개방형 경제는 모든 회사들에게 기회가 되고, 게임 산업 전체를 재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