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가 이렇게 흘러가자,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이하 협회)를 원망하는 소리도 들린다. '숱한 규제가 난무하기 까지 협회가 한 일이 뭐냐'는 말이다. 대정부 교섭에 실패했으니, '책임을 져라'는 것이다.
협회에 대한 쓴소리는 내부 보단 외부에서 나온다. 협회를 비난하는 상당수 발언들은 커뮤니티에 강한 개발자, 경력은 오래됐지만 막 회사를 만든 이들이 주도한다. 그들의 주장은 SNS를 통해 파급력과 설득력을 갖는데, 보고 있노라면 당장 협회를 어떻게 해야 할 정도로 심각하게 들린다.
그들의 냉정하고 합리적인 비판에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비겁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싸움판 밖에 있기 때문이다. 자신들 또한 협회 회원사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망각한 채 관찰자 시점에서 사안을 바라보고 있다.
협회는 회원사들의 이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다. 어느 산업군에도 다 있고, 협회의 힘이 곧 그 산업군의 영향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회원사의 수, 조직력이 뒷받침 되지 않는 어떤 협회가 대관 외교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겠는가.
이들에게 하고픈 말은 판 안으로 들어와, 회원사의 위치에서 할 말을 하라는 것이다. 협회에 회원사로서 힘을 실어주지도 않은 상황에서 밖에서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것은 도움도 안 될 뿐더러 보기에도 좋지 않다.
게임과 관련된 규제는 모든 게임사에 영향을 미친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그렇기에 회원사든 아니든 모두에게 불이익과 혜택이 돌아갈 수 밖에 없다. 협회가 가져온 혜택은 누리되 책임은 지지 않겠다는 것은 전형적인 무임승차다.
미우나 고우나 아케이드를 제외한 대표 협회는 하나다. 모바일 게임붐을 타고 창업한 회사가 적어도 백 개는 될 텐데, 여전히 협회 홈페이지에 등록된 회원사수는 77개다. 게임사업을 한다면 무조건 협회에 힘을 실어야 한다. 일단 협회에 힘부터 실어줘야 제대로 싸울 것 아닌가. 비난은 그 이후에라도 늦지 않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nonny@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