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K-IDEA는 청소년 보호를 위해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를 선포하고 관련해 꾸준히 준비해 온 바 있다. 이후 6개월 만에 구체적인 방안 및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인 만큼 관심은 뜨거웠다.
당초 적용 범위가 전체 이용가 게임에만 한정돼 있던 자율규제는 여론을 수렴해 15세 이용가까지 범위가 확대 됐다. 또 K-IDEA는 확률형 아이템 획득 확률 공개 방식에 대해 세 가지 예를 들면서 관계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인증과 관련해 회원사들에게는 별도의 수수료를 받지 않지만 비회원사는 그렇지 않다. 인증을 신청한 뒤 적용을 받으려면 일정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얘기다. 구체적인 액수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지만 수수료를 징수한다는 점에서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도 있다.
인증은 K-IDEA가 업계 전반의 자율규제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방안인데, 비회원사들은 인증을 받는 데 수수료를 내야한다는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 회원사는 수수료를 안내도 된다는 부분은 마치 비회원사들에게 K-IDEA에 가입을 하라는 말로 비쳐질 수도 있다.
물론 아직 자율규제가 시행되지도 않았고, 인증 관련 부분은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인증 수수료 문제는 K-IDEA의 회원사, 비회원사 선긋기까지로도 비약될 수 있다.
자율규제 이슈가 한창 불거졌던 지난 3월 이후 언젠가 K-IDEA 김성곤 사무국장에게 "어떻게 비회원사들까지 자율규제 분위기에 동참하게 만들 생각인가"라는 질문을 던진 적이 있다. 그러자 "일단 협회와 회원사들이 먼저 자율규제를 잘 시행해 분위기를 조성하면 자연스레 비회원사들도 따라오지 않겠나"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말 그대로 '자율'규제다. K-IDEA 회원사들은 가이드라인을 준수한다쳐도 비회원사들이 이를 따라줄지 미지수인 상황에서 인증 수수료와 관련해 K-IDEA의 합리적인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강성길 기자 (gill@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