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나혼렙'부터 '뱀피르'까지, 넷마블 신작 '릴레이 흥행'

넷마블 지타워(제공=넷마블).
넷마블 지타워(제공=넷마블).
넷마블이 신작 흥행을 앞세워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

넷마블은 지난해 5월부터 선보인 신작들이 연이어 흥행에 성공하며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넷마블의 2025년 상반기 국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2.7% 증가한 약 3580억 원을 기록했다. 국내 매출 비중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사업 구조 변화의 신호탄을 쐈다.

이 같은 회복세의 배경에는 지난해 5월부터 이어진 신작 성과가 자리한다. 지난해 5월 출시된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는 출시 직후 애플 앱스토어 매출 1위를 차지했고, '레이븐2'는 구글 플레이 매출 톱 3에 올랐다.
(제공=넷마블).
(제공=넷마블).
올해 상반기에 선보인 'RF 온라인 넥스트'는 출시 직후 구글 플레이 매출 1위를 기록했으며,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애플 앱스토어 1위와 구글 플레이 2위에 올랐다. 여기에 최근 출시된 신작 '뱀피르'가 양대 마켓 매출 1위를 달성하며 흥행작 대열에 합류, 넷마블 실적 개선에 청신호를 켰다.

특히 '레이븐2', 'RF 온라인 넥스트', '세븐나이츠 리버스' 같은 자체 IP 기반 작품들이 성과를 내고, 신규 IP '뱀피르'가 단숨에 흥행작 반열에 오른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동안 제기된 외부 IP 의존도에 대한 우려까지 어느 정도 씻어냈다.

(제공=넷마블).
(제공=넷마블).
하반기 넷마블의 관심은 글로벌 시장 비중 확대에 쏠려있다. 전체 매출의 7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는 만큼, 하반기 출시 예정 대형 신작이 글로벌 무대에서 어떤 성과를 낼지가 관전 포인트다.

특히 일본을 핵심 시장으로 꼽아온 넷마블은 하반기에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작품은 지난 6년간 일본과 미국에서 꾸준히 사랑받은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의 후속작이다.

전작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는 2019년 일본 시장에 출시돼 현재 앱 마켓 매출 순위 최상위권을 지키고 있다. 서비스 6주년을 맞은 2025년 2분기 기준 게임 매출 비중 4%를 차지하며 꾸준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현지 이용자의 관심이 높은 만큼,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은 넷마블의 글로벌 흥행 실적을 끌어올릴 핵심 타이틀로 꼽힌다.

넷마블 게임 매출 비중. 한국과 일본에서 서비스 6주년을 넘긴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느 ㄴ여전히 신작 못지 않은 매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출처=넷마블 2025년 2분기 실적발표 자료).
넷마블 게임 매출 비중. 한국과 일본에서 서비스 6주년을 넘긴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느 ㄴ여전히 신작 못지 않은 매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출처=넷마블 2025년 2분기 실적발표 자료).
넷마블은 출시에 앞서 오는 24일부터 일본 지바현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리는 '도쿄 게임쇼 2025(TGS 2025)'에 부스를 마련해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본격적인 출시 준비에 돌입한다.

국내와 중국 시장을 겨냥한 라인업도 눈길을 끈다. 국내에 수집형 서브컬처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은 '몬스터 길들이기'의 후속작 '몬길: 스타 다이브(STAR DIVE)', 중국을 비롯한 중화권 시장 인지도가 높은 '스톤에이지: 펫월드' 등이 하반기 출시 목록에 포함됐다.
넷마블 김병규 대표는 지난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올해 하반기에 7개의 신작과 3개 게임의 권역(서비스 지역) 확장을 진행할 예정이다.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뱀피르' 등 신작을 성공적으로 론칭한 넷마블의 향후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