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천성을 베이스로 한 '모두의쿠키'는 과감히 시간제한을 없애고, 캐릭터와 퍼즐 요소를 가미해 초보자들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디자인된 게임이다. 제한 시간 내에 더 높은 점수를 기록, 자신의 실력을 뽐낼 수 있는 고수들을 위한 콘텐츠인 '무한도전' 모드도 매력적이다.
지난 1월 출시된 '모두의쿠키'는 '모두의마블'을 개발한 넷마블엔투의 작품이다. 글로벌 흥행작 '모두의마블'의 명성에 걸맞게 '모두의쿠키' 역시 높은 게임성으로 국내 시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나 PD는 "'모두의쿠키'가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하고 있다"며 "남녀노소 모든 연령대가 쉽고 즐겁게 플레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Q 모두의쿠키가 출시된지 2달 정도 됐다. 꾸준히 매출 20위권 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데 원동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A '모두의쿠키'는 비빔밥 같은 게임이다. 익숙하지만 새롭다. 모험하기, 무한도전, 캐릭터시스템, 교배하기, 업그레이드, 컬렉션, 보물찾기 등 기존 퍼즐게임에서 적용하지 않은 다양한 시스템을 녹여 냈기 때문에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는 것 같다.
Q 게임 내 어떤 부분이 이용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나.
A 최고의 사랑 1위는 캐릭터라고 봐야겠다. 친근한 동물들이 색다른 코스튬을 하고 게임에 등장하니 어떻게 사랑하지 않고 배길까. 캐릭터는 컬렉션과 묶여 있어 컬렉션을 수집해 보물찾기를 보내는 색다른 재미도 느낄 수 있다. 또한 게임 플레이 시 스킬을 사용해 이용자에게 도움을 주니 금상첨화 아니겠는가.
또 '교배하기', '대신 클리어' 기능은 이용 빈도가 높다. 두 기능 모두 친구들과 할 수 있는 소셜 기능이다. 교배하기는 캐릭터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 새로운 캐릭터를 얻고 싶어하는 이용자의 니즈가 고스란히 반영된다. 친구의 캐릭터와 나의 캐릭터를 통해 친구의 캐릭터 종류를 얻을 수 있어 나에게 없는 캐릭터를 가진 친구와 교배를 많이 하고 있다.
Q 일반적인 사천성 룰에 다양한 클리어 방식을 삽입한 것이 특징이다. 이 같은 게임을 기획한 배경은.
A 지금까지의 사천성은 한결같이 시간제한으로 빠른 손놀림을 요구하는 방식이었다. 이 부분이 오히려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과 사천성을 해봤던 이용자들이 모두 빠르게 플레이 하는 성향은 아니라는 것, 이 부분을 핵심 포인트로 잡고 근간은 사천성이지만 사천성 같지 않은 게임을 만들어 보려 했다.
Q 같은 쿠키를 두 번 연속 없애면 별이 나온다. 별과 별을 합성하는 형식 말고 이런 형태의 다른 특수 쿠키를 더 업데이트 할 계획은 없는지.
A 특수 쿠키를 추가할 계획은 현재 없다. 단순한 기본 룰에 체인시스템(별만들기)의 추가 만으로도 활용이 다양하고 클리어에 고민이 많아 추가적인 특수 쿠키를 만들 경우 룰이 더 어려워 질 수 있다고 판단이 된다. 모든 이용자들이 익숙해 진다면 추가도 고려하고 있다.
Q 향후 업데이트 방향은 어떻게 잡고 있나.
Q 귀여운 캐릭터들이 눈에 띈다. 캐릭터 관련 사업 계획은 없는지.
A 현재 해피빈과 동물보호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는 사업적인 부분도 다양하게 진행해보려 준비하고 있다.
Q '모두의마블'은 해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모두의쿠키' 해외 진출 계획은.
A 아직은 예정되어 있지 않다. '모두의쿠키'가 글로벌로 진출해 전세계 사람들에게 사천성 형태의 게임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 그러기 위해선 국내에서 더 좋은 성과를 거둬야 할 것 같다. 글로벌 퍼즐 게임이 될 수 있는 요소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Q 더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A '모두의쿠키'는 이제 출시한지 두 달이 된 어린 아이와 같다. 앞으로 준비한 다양한 콘텐츠를 붙여 성장할 수 있는 게임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 당연하겠지만 더욱 성장하기 위해 이용자들의 많은 관심과 다양한 의견 및 질책이 필요하다. 함께하면 더 즐거운 게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업데이트 시 항상 고민하고 있다. 남녀노소 모든 연령대가 쉽고 즐겁게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
글=데일리게임 강성길 기자 gill@dailygame.co.kr
사진=데일리e스포츠 박운성 기자 photo@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