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미국 시간) 오픈AI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letter of int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양사는 최대 1000억 달러(한화 약 140조 원) 규모의 협력 의향서를 맺고 차세대 인공지능 모델 훈련과 서비스를 위한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데이터센터의 예상 전력 규모는 10기가와트(GW)에 달한다. 이는 대형 원자력 발전소 원자로 7~10기가 동시에 가동하는 수준이다. 첫 배치는 1GW 규모로 2026년 하반기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플랫폼 '베라 루빈(Vera Rubin)'을 통해 시작될 예정이다.
오픈AI는 챗봇 '챗GPT'를 개발해 전 세계에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킨 회사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투자와 클라우드 인프라 지원을 받아 GPT 시리즈를 고도화해왔으며, 현재는 AI 서비스 분야를 대표하는 선도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오픈AI는 안정적인 GPU 공급망을 확보해 차세대 모델 학습과 서비스 확장에 나설 수 있게 됐다. 엔비디아는 초대형 고객과 장기 협력을 맺으면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다. 양사는 조만간 세부 조건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 합의로 글로벌 시장의 AI 인프라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과 유지비용, 각국의 규제와 행정 이슈는 변수로 꼽히지만,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대표 기업이 힘을 모은다는 데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오픈AI 샘 알트만 CEO는 "모든 것은 컴퓨팅에서 시작된다.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며, 우리는 엔비디아와 함께 구축하고 있는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AI 혁신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개인과 기업에 대규모로 역량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