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N 두레이(NHN Dooray, 대표 백창열)는 15일 NHN 판교 사옥에서 기자 간담회를 통해 AI 기능이 탑재된 두레이 AI(Dooray! AI)를 공개했다. 현장에는 NHN 두레이 백창열 대표의 발표를 시작으로 NHN 두레이 박형민 본부장, NHN AI기술랩 이록규 랩장과 함께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백창열 대표는 "협업 도구를 통합시킨 1단계와 전통적인 업무 환경을 통합시키는 2단계를 넘어, 엔터프라이즈 시장에 대응하는 동시에 AI 기능이 탑재된 3단계를 보여주고자 한다"며, "어떤 업무 환경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두레이 AI를 발판 삼아 국내 협업툴 시장을 이끄는 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NHN 두레이는 현재 고객 맞춤형 AI와 도입의 편의성이라는 2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두레이 AI 서비스를 전개할 예정이다. 거대언어모델(LLM) 전략을 활용해 이용자의 보안 환경과 업종에 따라 맞춤형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하나의 LLM에 의존하는 방식이 아닌 오픈AI부터 이용 기업 내부의 LLM을 활용하는 방식까지 포용하며 다양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두레이 AI의 경우 대화 내용이 LLM의 외부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준수한 보안 체계를 갖추고 있다. 나아가 NHN 두레이는 보안 전문 업체와 협업해 데이터 유출 방지(DLP) 기능을 갖춰 위험을 원천 차단했으며, AI 관련 정보 및 조직 내 규정 준수를 보장하고자 내부적인 감사 모니터링도 제공한다.
NHN 두레이 박형민 본부장은 "공공기관에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보안을 위해 금융 CSP 안정성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NHN은 국내 SaaS 업체 중 최초로 표준 인증을 받았다"라며, "다양한 레퍼런스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안으로는 국내 업체 중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NHN 두레이는 전자결재 서비스 시장의 성장을 향후 적극적인 사업 기회로 만들 방침이다. 현재 현대-기아 공식 엔터프라이즈를 추진하고 있으며, 100개가 넘는 공공기관에서 두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주항공청, 국방부 등도 두레이를 도입했다. 나아가 각 기관과 기업마다 갖고 있는 전자결재 시스템을 SaaS 형태로 제공하고 AI 기능을 통해 한층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구축하면서, 복잡한 현재의 전자결재 시스템을 고도화시켜 시장의 핵심 기업으로 안착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백창열 대표는 "두레이 AI는 공공기관 AI 도입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개인 업무를 완벽히 보조하는 도구로 기능하기 위해 향후 두레이 AI의 관련 기능을 지속 고도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학범 기자 (ethic95@dailygame.co.kr)